216.73.216.65
IP user
최근 변경
목차
최근 변경
최근 토론
메뉴
설정
라이트 테마로
다크 테마로
내 문서 기여 목록
내 토론 기여 목록
내 편집 요청 목록
로그인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공지
clearsky vue 포팅 버전이 지원 예정입니다.
이동
삭제
역사
ACL
이동
삭제
역사
ACL
대한민국 대통령
(r3 문단 편집)
[오류!]
현재 사용중인 아이피가 ACL그룹 우회 수단 #34760에 있기 때문에 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
만료일 : 무기한
사유 : 우회 수단(IPinfo 문제로 관련 정보 수집 불가) | 로그인 후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RAW 편집
=== 자택 === 예전에 살았던 집으로 돌아가거나 신축하여 살고, 집이 위치한 지명을 따서 불리기도 한다. [[김영삼]]과 [[김대중]]은 대통령이 되기 전부터 각각 [[상도동(서울)|상도동]]과 [[동교동]]으로 유명했고, 그를 따르는 무리를 [[상도동계]], [[동교동계]] 등으로 부르기도 했다. 일부 대통령의 경우 자택과 별개로 본인이 태어나서 정계 진출 전까지 생활한 고향 생가도 남아 있다. 생가의 경우 보존 처리해서 대통령 기념 시설로 사용하기도 한다. 생가의 정보는 아래의 기념관 항목에 있다. 역대 대통령들은 비자발적인 경우인 이승만 등을 제외하면 퇴임 후에도 계속 [[서울특별시]]에 거주하고 있지만, 노무현이 처음으로 퇴임 후 고향인 [[봉하마을]]로 귀향하였고, 문재인도 퇴임 후 본인의 제2의 고향이 된 [[양산시]]에서 거주할 것을 사실상 확정한 뒤 튀임 후 양산시로 내려갔고, 박근혜도 사면 이후 본인의 고향인 대구광역시로 내려갔다. 다만 경호 문제로 인해 대통령을 지냈던 사람들은 거주의 자유를 일부 제한당하며, [[문재인]] [[전직 대통령|전 대통령]]이 이 제한을 받아 퇴임 이후 덕계 사저로 돌아가지 못하고 통도사 근처로 가게 되었다. * [[이승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동(종로구)|이화동]] [[이화장]] 광복 이후 매입하여 정부수립 직전까지 살았다. 1982년, 서울특별시 기념물 6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양자(가족)|양자]] [[이인수(1931)|이인수]]의 아들들이 소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497호로 지정되어 있다.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혜화역]] 2번 출구에서 약 10분 정도 걸으면 된다. * [[윤보선]] - [[서울특별시]] [[종로구]] [[안국동]] '윤보선 가옥'이라고도 알려진 곳으로, 근대 한옥의 건축미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건축학적으로도 의미가 깊은 건물이다. 대통령 재직 시에도 [[청와대]]에서 기거하지 않고 이 곳에서 집무를 했다고 전해진다. 당시 민주당 구파의 중심지 역할을 해냈다고 한다. 1870년대 [[민영익]]의 아들 민규식이 지은 집으로, [[고종(대한제국)|고종]]이 사들여 [[박영효]]에게 준 집이다. 현재 소유권은 주식회사 영안이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사적|사적]] 제438호로 지정되었다.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안국역]] 1번 출구에서 약 5~7분 정도 걸으면 된다. * [[박정희]]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특별시)|중구]] [[신당동(서울)|신당동]] [[5.16 군사정변]] 직전까지 이 곳에 살았으며, 지금도 보존되어 있다. 그와는 별도로 [[경상북도]] [[구미시]]에는 그가 태어나고 자란 생가가 있다. * [[최규하]] -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서울)|서교동]] 최 전 대통령 사후 일반에 공개되었으며, 드라마 [[응답하라 1988]]의 촬영지로 사용되기도 했다. 서울시가 매입한 상태.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망원역]] 1번 출구에서 약 8분 정도 걸으면 된다. * [[전두환]]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 인접 철도역은 없으며, 방문하고자 할 경우 [[서울 버스 110|110번]], [[서울 버스 163|163번]], [[서울 버스 7017|7017번]], [[서울 버스 7612|7612번]], [[서울 버스 7720|7720번]], [[서울 버스 7734|7734번]], [[서울 버스 7738|7738번]], [[서울 버스 7739|7739번]], [[서울 버스 서대문03|서대문03번]]을 이용하여 연희삼거리에서 내리면 된다. 2021년 11월 23일, 전두환 전 대통령이 사망한 장소이고 현재 유골을 보관중인 곳이다. * [[노태우]] -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동(서울)|연희동]] 전두환과 이웃사촌으로 5분 거리에 집이 있다고 한다. 버스로 갈 경우에는 [[서울 버스 7612|7612번]], [[서울 버스 7734|7734번]], 7738번, [[서울 버스 7739|7739번]]을 이용하여 연희A지구아파트에서 내리면 된다. 서울 [[서대문구청]]에 의하여 압류되었다가 현재는 풀렸다. * [[김영삼]]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동(서울)|상도동]] 김영삼 민주센터가 상도동 사저 인근에 있으며, 이 센터는 김 전 대통령의 사후(死後)에 문을 열었다.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상도역]] 4번 출구에서 약 3~5분 정도 걸으면 된다. 손자 김성민이 법적 소유하고 있다. * [[김대중]]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도서관]]이 사저와 바로 붙어 있다. 대통령 당선 전에 잠시 [[경기도]] [[고양시]] [[정발산동]]에 거주한 적이 있으나 퇴임 후 다시 동교동으로 돌아갔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6번 출구로 나와 약 3분 정도 걸으면 된다. * [[노무현]] -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읍]] 본산리 [[봉하마을]] 최초로 퇴임 후 서울이 아닌 지방(김해 봉하마을)에 내려가 산 대통령이 되었다. 2018년 5월부터는 완전한 기념관이 되어 상시 개방하여 공개하고 있으며, 권양숙 여사는 진영읍 어딘가에 거주하고 있다고 한다. 대통령 당선 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명륜동(서울)|명륜동]] 현대하이츠빌라에 거주했다. * [[이명박]]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강남구)|논현동]] [[이명박/자택]] 문서 참고. 대통령 당선 전에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가회동]]에 거주했다. * [[박근혜]] -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읍]] 쌍계리 [[박근혜/자택]] 문서 참고. 대통령 당선 전에는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동(강남구)|삼성동]]에 거주했다. * [[문재인]] -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평산마을 [[문재인/자택]] 문서 참고. 대통령 당선 전에는 정치활동 시설이 모여있는 서울이 집이 있는 양산과 거리가 멀어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 금송힐스빌을 임시거처로 사용했다. * [[윤석열]] -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윤석열/자택]] 문서 참고. [[윤석열 정부 대통령 집무실 용산 이전|대통령 집무실 이전 계획]]에 따라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한남동 대통령 관저]]로 관저를 옮기기 전까지 약 6개월 동안 서초동 자택에서 용산 대통령 집무실까지 출퇴근하였다. [[공동주택]] 특성상 경호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기 후에는 다른 곳으로 자택을 옮길 것으로 보인다.
im preview
닫기
사용자 문서
문서 기여 내역
토론 기여 내역
(없음)
×
설정
위키
토론
스킨
테마
자동 (시스템 설정)
라이트
다크
표 워드랩 사용 안 함
사용
문단을 기본으로 접기
사용
접기 문법을 기본으로 펼치기
사용
취소선
보이기
취소선 제거
숨기기
각주 표시 형식
브라우저 기본
팝오버
팝업
기본 편집 모드
편집기
RAW 편집
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
사용
취소선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굵음
보이기
속성 제거
숨기기
항상 메뉴 제목 표시
사용
항상 도구 제목 표시
사용